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세금은 월급에서 얼마나 빠져나갈까?

조세법

by lucky_rich 2025. 4. 10. 22:56

본문

1. 세전과 세후, 왜 이렇게 차이가 날까?

처음 입사해 받은 첫 월급 명세서를 보고 놀랐던 기억,
“분명 연봉 3,000만 원이라더니, 왜 통장엔 230만 원밖에 안 들어왔지?”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이 바로 '공제 항목'입니다.

 

📌 『세법개론』에서는

“급여는 과세표준 산정 전의 총액이며,
실수령액은 사회보험료, 세금, 기타 공제를 제외한 잔여 소득”이라고 설명합니다.

 

즉, 우리는 법으로 정해진 기준에 따라 일정 금액을 매월 자동 공제당하고 있는 것입니다.


2. 월급에서 빠져나가는 공제 항목 6가지

소득세 국세 누진세 구조, 연말정산 대상
지방소득세 지방세 소득세의 10%
국민연금 4대 보험 노후소득 보장
건강보험 4대 보험 의료비 지원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 부속 65세 이상 장기요양 대비
고용보험 4대 보험 실업급여 등 지원

이처럼 월급에는 세금(국세·지방세)사회보험료가 모두 포함되어 공제됩니다.


세금은 월급에서 얼마나 빠져나갈까?


3. 실전 사례: 연봉 3,600만 원 사원의 월급명세서

항목 금액 (월 기준) 비고

총 지급액 3,000,000원 세전 기준
소득세 약 39,000원 근로소득 간이세액표 기준
지방소득세 약 3,900원 소득세의 10%
국민연금 135,000원 4.5%
건강보험 약 110,000원 3.545%
장기요양보험 약 12,000원 건강보험료의 12.81%
고용보험 약 26,250원 0.9%
실수령액 약 2,673,000원 약 32만 원 공제

 

이처럼 월급의 약 10~11%는 자동으로 공제됩니다.

 

📌 『조세총론』에서는

“사회보험료는 조세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며,
개인의 재정 자율성과 국가의 복지 기능 사이의 균형점”이라고 설명합니다.


4. 항목별 공제 구조 상세 설명

✅ ① 소득세

  • 근로소득 간이세액표에 따라 누진적으로 부과
  • 과세표준 = 총급여 – 근로소득공제 – 인적공제
  • 매달 원천징수 후 연말정산으로 정산됨

✅ ② 지방소득세

  • 소득세의 10% 부과
  • ‘주민세’의 일환으로 지방자치단체 운영에 사용

✅ ③ 국민연금

  • 월 소득의 4.5%를 납부, 회사도 동일 금액 부담
  • 노후 연금으로 수령 가능

✅ ④ 건강보험 + 장기요양보험

  • 건강보험료율: 7.09% (본인 3.545%)
  •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료의 12.81%
  • 65세 이후 장기요양 필요 시 서비스 제공

✅ ⑤ 고용보험

  • 2025년 기준, 본인 부담 0.9%
  • 실직 시 실업급여·직업훈련 혜택 가능

5. 공제 항목은 어떻게 줄일 수 있을까?

사회보험료는 법정 비율로 고정되어 있지만,
소득세·지방소득세는 공제항목 활용에 따라 조정이 가능합니다.

✅ 실전 절세 팁

연금저축 납입 세액공제 13.2~16.5% 연 400만 원 한도
부양가족 인적공제 과세표준 ↓ 부모님, 자녀
기부금 공제 세액공제 15~30% 지정기부금 단체
의료비·교육비 공제 연말정산에서 공제 가능 총급여 대비 비율 고려

 

📌 『소득세법』 제52조에서는

“근로자는 일정한 지출 항목에 대해 소득공제를 신청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실제 세부담이 경감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6. 세후 월급, 이렇게 계산해보세요

예상 실수령액 계산 공식:

세전월급  
– 소득세  
– 지방소득세  
– 국민연금  
– 건강보험  
– 장기요양  
– 고용보험  
= 세후 월급

📌 국세청 세금모의계산기
각종 월급계산기를 활용하면 대략적인 세후소득을 확인할 수 있어요.


💬 Luckyrich의 생각

“세금이 너무 많이 빠져나가는 것 같다고요?”


하지만 그 구조를 알고 나면, **‘피할 수 없는 것’이 아니라 ‘설계할 수 있는 것’**이 된답니다.

우리가 낸 세금은 어디론가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나의 노후, 건강, 실업을 보호하는 사회 시스템의 일부예요.
그리고 그중 일부는,
잘 알아두면 돌려받을 수도 있고 줄일 수도 있는 돈이랍니다.


✅ 공제 항목 정리표

항목 본인 부담률 특징
소득세 간이세액표 기준 연말정산 정산
지방소득세 소득세의 10% 지방세
국민연금 4.5% 노후연금
건강보험 3.545% 의료보장
장기요양 건강보험료의 12.81% 고령자 요양보장
고용보험 0.9% 실업급여 등

🔍 요약 정리

공제 총액 월급의 약 10~11%
핵심 항목 세금(소득세, 지방세) + 4대 보험
절세 가능성 소득세 항목에서 공제 가능
실수령액 계산 세전금액 – 공제금액 = 실수령
핵심 메시지 ‘월급의 구조’를 알면 세금도 보인다

 

관련글 더보기